[헤럴드경제] 신축공사의 생산유발효과만 1조 8천억원… 부산 ‘미월드’ 부지 개발, ’랜드마크 효과’ 기대감↑
[헤럴드경제] 수영구 민락동 ‘옛 미월드’ 부지 개발사업 시행사인 티아이부산PFV㈜가 지난 4월 한국종합경제연구원에 의뢰한 경제파급효과 조사결과보고서 내용을 최근 모두 공개했다.보고서에 따르면, 약 58,300m2의 ‘옛 미월드’ 부지를 2024년까지 개발하는 동안 생산유발효과는 1조 8,095억원, 부가가치유발효과는 7천361억원, 취업유발효과는 9천865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었다.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와 비교할 때, 복합시설의 대지면적은 16% 정도이지만 생산유발효과는 약 41%에 달할 정도로 높게 나타난 것이다. 공사기간 중 직접고용인원 257,400명, 간접고용인원 8,051명 등 총 264,102명의 일자리 창출효과도 예상했다.공사가 끝난 후에도, 복합시설 내 생활숙박시설, 관광상업시설 등을 운영하면서, 매년 생산유발효과 1천380억원, 부가가치유발효과 553억원, 취업유발효과 1,445명 정도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.보고서는 또한, 복합시설이 60년 간 운영된다고 했을 때 공사기간을 합한 전체 기간 동안의 생산유발효과는 10조 873억원, 부가가치유발효과는 4조 515억원, 취업유발효과는 9만6,584명에 달한다고 밝혔다.‘옛 미월드’ 부지 개발사업의 사업규모(투자규모)는, 복합시설 건립에 약 8천975억원에, 민락유원지 토지보상 및 기부채납에 약 97억원을 합해 총 9천67억원에 달한다. 이는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총공사비의 약 24%에 해당한다.티아이부산 관계자는, “지역을 대표하는 건물이 인근에 큰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다 주는 ‘랜드마크 효과’의 사례는 국내외에서 많이 볼 수 있다”며, “수영구의 랜드마크 복합시설로서 관광객을 불러모아 지역상권을 활성화하고 고용창출에도 기여하게 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실제로, 수영강 건너편 해운대구에는 센텀시티, 마린시티, 엘시티로 이어지는 ‘해운대 MICE(마이스) 벨트’가 구축이 되어 있는데 반해 수영구에는 그에 필적할 만한 시설이 없다고 할 수 있다. 부지가 제대로 개발된다면 입지적으로 해운대의 관광인프라를 수영구와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.티아이부산 관계자는, “건축심의 등 향후 인허가 일정이 신속히 진행되어 하루빨리 공사가 시작되기를 고대하고 있다”며, “공사가 시작되는 순간부터 코로나사태로 어려워진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에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”고 말했다. 그는 또 “인근 지역민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지역발전과 주변 가치상승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”이라고 덧붙였다.수변공원 인근에서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ㄴ씨(57세)는, “미월드 개발로 인해 광안리해수욕장, 민락회센터 등 일대 관광지가 활성화되길 기대하고 있다”며, “이 지역이 명실상부한 수영구의 관광1번지가 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에서도 적극 나서 달라”고 말했다.
" real@heraldcorp.com">real@heraldcorp.com